반응형

frontend 2

리액트 생명주기와 useEffect

React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사람이 태어나고, 성장하고, 죽는 것처럼 React 컴포넌트는 생명주기를 갖는다. 바로, " 생성 - 업데이트 - 제거"의 과정이 그것이다. 생성될 때 (Mount) constructor로 정의해놓은 것들이 실행되고 render되면서 mount(생성)된다. 업데이트될 때 (Update) 업데이트는 props나 state가 변경되었을 때 발생한다. 제거될 때 (Unmount) 상위 컴포넌트가 하위 컴포넌트를 더이상 그리지 않을 때, unmount(제거) 된다. (클래스 컴포넌트 기준으로) 모든 컴포넌트는 render 메서드를 갖는다. render 메서드는 웹 컴포넌트를 실제 DOM 요소에 그려주는 역할을 한다. render 메서드는 제거될 때를 말고는 모두 실행되는데, 그 전..

Frontend 2024.03.02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가 정적 트랜스파일링 언어이다' 라는 것의 의미

요즘 프론트엔드 개발자 공고에서 빠지지 않는 것 중 하나는 바로 Typescript 활용 능력이다. 'Typescript가 타입을 지정하고 큰 프로젝트에서는 안정성이 좋다' 이런 얘기들은 많이 들어봤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특징을 갖고, 왜 협업과 큰 프로젝트에서 좋은지 javascript와 비교해보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정적 타입 언어 vs 동적 타입 언어 Typescript는 정적 타입 언어이다. Typescript는 정적 타입 언어이다. 정적이다는 영어로, static이며 동적(dynamic) 이라는 단어와 반대되는 뜻이다. 한마디로 움직이지 않고 정해져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타입이 정적이다는 무슨 뜻이고 동적이다는 무슨 뜻인걸까? function sum ( a: number, b: num..

Frontend 2024.01.10
반응형